
내고향뉴스 김익성 기자 | 진주시의회는 지난 24일 의원 연구단체 ‘지방의회 상생거버넌스 구축 연구회’가 최종 연구활동 결과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는 연구 초기 기획 단계부터 전문가 의견 청취 및 수렴, 정책연구용역 과제 수행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서 축적된 연구 성과가 총망라됐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진주시 행정의 소통 부재 문제는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직매립 금지로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황에서도 광역소각장 설립 문제 등에 대한 주민 인식이 극히 저조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현안 정보 제공이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책 결정 과정에서 주민이 소외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최민국 대표의원은 “진주시가 앞으로 주민 중심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더욱 또렷하게 확인하는 연구활동이었다”면서 “지방의회 상생 거버넌스 모델 구축을 향해 의미 있는 첫걸음을 내디뎠다”고 총평했다.
또한 “오랜 여정을 끝까지 함께해 준 동료의원들의 헌신 덕분에 이번 정책 연구를 성공적으로 완수할 수 있었다”며 감사의 뜻을 표하기도 했다.
연구회 회원들은 그간의 활동을 돌아보며 소회를 나누고, 지역사회의 여러 주체와 거버넌스를 구축·유지함으로써 지방의회가 주민 중심의 의정 활동을 강화하는 데 책임 있는 역할을 맡겠다고 다짐했다.
최 의원을 비롯해 소속 의원은 박종규, 강묘영, 오경훈, 박미경, 강진철, 박재식, 신현국, 최지원, 양해영 의원 등 모두 10명이다.
연구회는 김해시의회·경상남도의회 간담회, 연구진과의 협업 등에서 도출한 협력 거버넌스 구축의 필요성과 실효성 있는 발전 방안을 결과보고서에 담아 의회운영위원회에 제출했다.
의회사무국 관계자는 “제9대 임기 막바지를 향해 가는 시점에서 의원 연구단체들이 지역 현안 해결의 방향성을 모색하며 다방면에서 소기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밝혔다.



























































